맨위로가기

육군유년학교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유년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장교 양성 기관으로, 1870년 설립되어 1945년 태평양 전쟁 종전과 함께 폐지되었다. 1872년 육군병학료 유년학사에서 독립하여 설립된 후, 육군사관학교와의 통합과 분리를 거쳐 1887년 재설립되었다. 육군유년학교는 육군사관학교 예과, 도쿄 육군유년학교 등으로 개칭되었으며, 지방 유년학교를 통합하여 교육 체계를 정비했다. 육군유년학교 출신은 엘리트 장교로 성장하여 육군의 주요 보직을 독점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육 과정에서는 보통학과 군사학, 어학 등이 강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0년 설립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1870년 설립 - 외무청 (독일)
    독일 외무청은 1870년 설립되어 독일 제국 수립 이후 외교를 총괄하며 독일 역사의 주요 국면들을 거쳐 현대적인 관료제로 개편되었고, 나치 시대 홀로코스트에 가담한 과거를 거쳐 현재 전 세계 226개의 재외공관을 운영하며 독일 외교 정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 일본의 구제교육기관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는 1868년 교토에 설립되어 프랑스식, 프로이센식 교육 제도를 거쳐 장교를 양성하다가 1945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방위대학교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 일본의 구제교육기관 - 구제중학교
    구제중학교는 일본 중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5년제 후기 중등 교육 기관으로, 엘리트 등용문으로 여겨졌으나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폐지되어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일제강점기 조선의 유사 학교들도 해방 후 학제 개혁을 거쳐 신제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 일본 육군의 교육기관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는 1868년 교토에 설립되어 프랑스식, 프로이센식 교육 제도를 거쳐 장교를 양성하다가 1945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방위대학교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 일본 육군의 교육기관 - 육군예과사관학교
    육군예과사관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사관 후보생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1937년 독립 후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운영되다 종전 후 폐지되었으며, 현재 그 부지는 육상자위대 아사카 주둔지로 사용되고 있다.
육군유년학교 (일본) - [지명]에 관한 문서
학교 정보
육군 중앙 유년 학교
명칭육군유년학교
원래 명칭陸軍幼年学校 (りくぐんようねんがっこう, Rikugun Yōnen Gakkō)
종류군사 학교
건설1870년
건설 주체일본 제국 육군
재질시멘트
사용 기간1870년 ~ 1945년
해체 여부
소유자일본 제국 육군
위치 정보
위치혼슈 오사카부 오사카시
조직 및 지휘
주둔 부대일본 제국 육군
현재 지휘관알 수 없음
지휘관알 수 없음
역사적 맥락
사건알 수 없음
전투알 수 없음

2. 역사

1870년(메이지 3년) 요코하마어학연구소를 오사카병학료에 편입하여 '''유년학사'''로 시작했다. 1871년(메이지 4년) 오사카병학료는 육군병학료·해군병학료로 분리되었고, 같은 해 도쿄부로 이전했다. 1872년(메이지 5년) 육군병학령 개정에 따라 육군병학료 유년학사에서 독립하는 형태로 유년학교가 설립되었다. 1874년(메이지 7년) 육군사관학교(육사)가 육군병학료에서 분리 독립했고, 1875년(메이지 8년) 유년학교도 육군병학료에서 분리 독립하여 '''육군유년학교'''로 개칭되었으나, 1877년(메이지 10년) 육군사관학교에 통합되어 잠시 소멸되었다.

1886년(메이지 19년) 4월 교육령 대신 중학교령 등이 공포되자, 1887년(메이지 20년) 육군사관학교 관제 및 육군유년학교 관제가 제정되어 '''육군유년학교'''가 다시 설립되었다. 1889년(메이지 22년) 6월 육군유년학교 관제는 폐지되고 육군유년학교 조례가 제정되었다.

청일 전쟁 이후 1896년(메이지 29년) 5월 육군유년학교 조례가 폐지되고, 육군중앙유년학교 조례 및 육군지방유년학교 조례가 제정되었다. '''육군중앙유년학교'''는 도쿄에 1개교, '''육군지방유년학교'''는 센다이, 도쿄, 나고야, 오사카, 히로시마, 구마모토에 각 1개교씩 설치되었다. 지방 유년학교에서 3년간 교육 후 중앙 유년학교에서 2년간 교육받는 총 5년의 수업 연한이 설정되었다. 이는 문부성 관할 구제 중학교(수업 연한 5년)와 유사하여 교육계와 신문 등에서 지방 유년학교 폐지론이 제기되었다. 제국 의회 귀족원의 구보타 조도 폐지론을 주장하며 건의안 제출을 준비했으나, 중의원 해산으로 시기를 놓쳤다. 당시 중학교의 학교 소동 문제와 중학교의 자유 교육을 받은 인재는 신뢰할 수 없다는 육군 측 관념으로 인해 폐지되지는 않았다.

1898년(메이지 31년) 5월 12일, 중앙 유년학교는 도쿄시우시고메구이치가야혼무라초 구 야전포병 제1연대 부지에 신축된 교사로 이전했다.[26] 1903년(메이지 36년) 정부 재정난으로 육군중앙유년학교와 도쿄 육군지방유년학교 합병이 시도되었다. 그 결과, 같은 해 6월 29일 육군중앙유년학교 조례 전부 개정(메이지 36년 칙령 제108호), 육군지방유년학교 조례 일부 개정(메이지 36년 칙령 제109호)으로 기존 육군중앙유년학교는 '''육군중앙유년학교 본과''', 도쿄 육군지방유년학교는 '''육군중앙유년학교 예과'''로 개편되었다. 구 도쿄 육군지방유년학교 교장 직은 폐지되고, 육군중앙유년학교 교장이 본과·예과 교장을 겸임했다.[27]

1920년(다이쇼 9년) 육군유년학교령 제정으로 같은 해 8월 10일 육군중앙유년학교 본과는 '''육군사관학교 예과''', 육군중앙유년학교 예과는 '''도쿄 육군유년학교''', 육군지방유년학교는 '''육군유년학교'''(나고야 육군지방유년학교는 나고야 육군유년학교)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1922년(다이쇼 11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세계적 군축 분위기 속에 같은 해 오사카 육군유년학교가 폐지되었다. 1923년(다이쇼 12년) 나고야, 1924년(다이쇼 13년) 센다이, 1925년(다이쇼 14년) 히로시마, 1926년(다이쇼 15년) 구마모토 육군유년학교가 차례로 폐지되어 도쿄 육군유년학교만 남았다. 1936년(쇼와 11년) 히로시마 육군유년학교가 부활했고, 1937년(쇼와 12년) 센다이, 1939년(쇼와 14년) 구마모토, 1940년 오사카 및 나고야 육군유년학교가 차례로 부활했다. 오사카 육군유년학교는 구스노키 마사시게 거성 근처 지요다 촌(현 가와치나가노시)으로 이전, 4월 1일 제44기생이 입교했다.

1945년 태평양 전쟁(대동아 전쟁) 패전으로 육군유년학교는 육군사관학교·육군항공사관학교·육군예과사관학교 등과 함께 폐지, 해산되었다. 도쿄 육군유년학교 부지는 농경지가 되었고, 1946년(쇼와 21년) 3월 1일 쇼와 천황 행차(쇼와 천황의 전후 순행)가 있었다.[28]

2. 1. 육군유년학교와 중학교 출신

육군 내에서는 육군유년학교 출신이 우대받아 요직을 독점하고, 중학교 출신은 소외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육사와 육대의 졸업 성적이 장교의 진급과 보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알려져 있다.[1] 육사 졸업 성적은 상위와 하위에 육군유년학교 출신(육유조)이 많고, 그 중간에 중학교 출신(중학조)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3]

육대에 합격하려면 3년 정도의 수험 공부가 필요했다.[31] 육대 응시 자격을 갖추려면 소속 부대장의 추천이 필요했는데,[32] 부대장은 육사 졸업 성적이 우수한 자를 추천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우수한 부하가 육대에 입교하는 것은 부대장에게도 명예로운 일이었다.[33] 소속 부대장의 기대를 받는 중위·소위는 연대 본부에서 근무하거나, 육사 예과 구대장으로 파견되는 등 여가 시간을 확보하여 육대 수험 공부에 전념할 수 있도록 배려받았다.[33] 수험 공부 막바지에는 연습 참가를 면제받고 휴가를 얻어 상경하여 공부에 전념하는 경우도 있었다.[33]

육사 36기 쓰카모토 마코토(塚本誠)는 중앙유년학교 본과(육사 예과로 개칭) 시절 구대장들이 여가를 이용해 육군대학교 수험 공부를 했다고 회고했다.[35]

2. 1. 1. 무이시 노리후미의 논고

무이시 노리후미(武石典史)는 육군유년학교 출신자(육유조)와 중학교 출신자(중학조)의 출신 가정, 육사 졸업 서열, 육대 졸업자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1]

  • 육유조는 "근대 세력(무관, 관공리(문관), 교원, 경찰관, 회사원, 의사, 변호사, 정치인 등)" 출신 비율이 높았고, 당시 엘리트의 대표인 고등학생·제대생을 능가했다. 반면 중학조는 "농업 세력" 출신 비율이 높았다.[1]
  • 육유조 출신 가정의 대부분은 "근대 세력"이었으며, 그중에서도 무관 자녀의 비율이 항상 높았다. 육군유년학교 학생의 20~30%가 무관의 자녀였다.[1]
  • 육사 졸업 성적 상위권, 육대 졸업자 및 은사조(졸업 석차 상위 6명[30]) 배출 수에서 육유조가 중학조를 압도했다.[1] 특히 육대 은사조 배출 수는 육유조가 중학조의 2~3배였으며, 상위 3명으로 한정하면 육유조 68명, 중학조 10명으로 차이가 더 컸다.[1]
  • 육사 졸업 성적이 상위일수록 육대 졸업자 비율이 높았고, 육대 졸업자의 수와 배출율 모두 육유조가 중학조보다 높았다.[1]
  • 소위 임관에서 육대 입교까지의 소요 연수를 고려하면, 육대 입시에서 육유조가 특별히 우대받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육대 응시에는 소속장(연대장 등)의 추천이 필요했고, 소속장은 육사 졸업 성적 상위자를 추천하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육사 성적 상위자가 많은 육유조가 유리했을 것이다.[1]
  • 중앙 3관아(육군성·참모본부·교육총감부) 과장급 이상 보직자 중 육유조(217명)는 중학조(68명)의 약 3배였다.[1] 육사와 육대 양쪽에서 성적 상위일수록 삼관아 과장에 취임할 가능성이 높았다.[1] 육사 성적이 상위이면 육대 졸업 이력이 없는 "무천조"라도 중앙 삼관아 과장이나 국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이 드물게 열려 있었다.[1]


무이시 노리후미는 제국 육군에서 육사 및 육대 졸업 성적이 진급과 보직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양쪽 모두에서 성적 상위자를 많이 배출한 육유조가 중학조보다 높은 계급에 오랫동안 현역으로 남고, 더 중요한 직책에 임명되는 결과가 되었다고 결론지었다.[1]

2. 1. 2. 후지이 히사시의 논고

후지이 히사시(藤井非三四)는 육군유년학교 출신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을 배운 반면, 영어만 배운 중학교 출신은 육군대학 합격률과 졸업 성적 모두에서 불리했다고 지적한다.[36]

후지이는 다음 4가지 점을 들어 육군유년학교 출신에게는 든든한 선배가 있었지만, 중학교 출신에게는 그런 사람이 없어[37] 유년학교 파벌이라는 "보이지 않는 벽"이 합리적인 인사를 가로막는 면이 있다고 말한다.[37]

# '''참모본부 작전과장'''(참모본부 제2과장, 1936년(쇼와 11년) 6월부터 1937년(쇼와 12년) 11월까지는 제3과장)은 육사 15기 이후 중학교 출신은 이마무라 히토시(육사 19기, 육대 27기 수석)뿐이고, 나머지는 육군유년학교 출신이 차지했다.[36] 이마무라는 작전과장 재임 중 만주사변이 발생하자 처리 방침을 둘러싸고 고립되었고, 큰 실책이 없었음에도 반년 만에 경질되는 아픔을 겪었다.[36]

# '''육군성 군무국 군사과장'''은 쇼와 시대에 들어와 육군유년학교 출신이 독점했다.[37]

# 인사를 담당하는 '''육군성 인사국장'''은 쇼와 시대에 중학교 출신은 가와시마 요시유키 (육사 10기)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육군유년학교 출신이었다. '''육군성 인사국 보임과장'''은 육군유년학교 출신이 독점했으며, 참모 인사를 담당하는 '''참모본부 서무과장'''도 육군유년학교 출신이 독점했다(육군유년학교 출신이 아닌 우시지마 사다오 (육사 12기)는 육군교도단 출신). 즉, "인사는 육군유년학교 출신이 독점"하는 상황이었다.[37]

# 육사 19기는 러일 전쟁 중 초급 장교의 대량 손실에 당황한 당국이 임시 모집한 기수로, 1,200명이라는 이례적인 다수를 채용했고, 중학교 출신으로만 구성된 특이한 기수였다.[36] 육사 19기에서 육군대학 은사조에 들어간 사람은 이마무라 히토시(육대 27기 수석[38], 1943년(쇼와 18년) 5월에 대장[39]), 다나카 세이이치 (육대 28기 은사[38], 1943년(쇼와 18년) 9월에 대장[40]), 가와베 쇼조 (육대 27기 은사[38], 1945년(쇼와 20년) 3월에 대장[41]), 혼마 마사하루 (육사 19기 보병과 은사[29], 육대 27기 은사[38], 중장으로 1942년(쇼와 17년) 8월에 예비역[42](제14군 사령관으로서 필리핀 공략에 나섰을 때의 부실함을 추궁받았다.)) 4명인데, 모두 인사상 불이익을 받았다.[36]

3. 선발

육군유년학교 입학 시험은 '모집 시험[5]'이라 불렸으며, 신체검사와 학과 시험으로 구성되었다.[6] 신체검사 합격자에 한해 국어, 작문, 지리, 역사, 수학, 이과[6] 학과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졌다.[6]

응시 자격은 만 13세 이상 15세 미만[3][6](원서 제출 다음 해, 즉 입교하는 해 3월 31일 기준[6])으로, 2회까지 응시 가능했다.[3] 모집 시험은 중학교 1학년 2학기 수료 정도의 학력을 요구했으나,[6] 응시 시 학력 제한은 없었다.[3][6] 경쟁률이 높아 대부분 중학교 출신이었지만, 일부 고등소학교 출신도 있었다.

전사 또는 공무상 부상·질병으로 사망한 육해군 군인·문관 자녀는 특대생 자격을 받아 일정 성적 이상이면 합격했다.[3] 이공계 소양, 특히 수학 과목이 중요하게 평가되어, 수학 만점에 타 과목 일정 기준 충족 시 우선 합격 대상이었다.[3] 시험 합격 후에도 각 육군유년학교에서 정밀 신체검사를 다시 통과해야 최종 합격했다.

4. 교육

육군유년학교의 교육은 3년간 이루어졌으며, 구제 중학교 2학년에서 5학년 과정에 해당하는 보통학(학과 교육)이 중심이었다. 군사학(훈육)과 정신 훈화는 무관인 생도감 등이 담당했다. 학과 교육은 일반 중학교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어학(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영어 중 택1[14]), 음악, 도화가 중시되었다.[15]

1921년, 육군유년학교 졸업자에게 고등학교 수험 자격이 주어졌다.[14]

4. 1. 훈육반

동기생들은 50명 정원의 훈육반에 소속되었고, 훈육반은 다시 25명 정원의 학반으로 나뉘었다. 1938년에는 학생들의 침실은 10명 정원이었으며, 여기에는 후술할 「모범 학생」이 1명씩 배정되어 함께 생활했다.[16] 각 훈육반에는 자습실이 마련되어 각 학생에게 책상이 지급되었다. 1940년 입교한 제44기생은 150명으로 증원되어, 당시의 훈육반은 「제1훈육반」, 「제2훈육반」 등으로 나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에는 제48기, 제49기생은 1개 훈육반에 50~60명의 학생이 재적하고, 많은 경우 6개 훈육반(1기 약 300명)까지 편성되었다.[16]

훈육반에서 지도의 중심이 되는 「'''생도감'''」은 어린 생도들에게 특히 중요한 존재였다. 제2차 세계 대전 후반에는 군대에서 대대장급의 중견 장교인 생도감의 격화되는 전지로의 전출이 잇따랐고, 말기에는 1개 학년에 대해 1~2명이라는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새롭게 위관의 「훈육반장」을 각 훈육반에 배치하여 생도감을 보좌하게 되었다.[18]

학생들 사이에서는 제1학년, 제2학년 훈육반에서 품행이 방정하고 학술이 우수한 제3학년 상급생이 특별히 임명되어 하급생과 같은 침실, 자습실에서 침대, 자습 책상을 함께 사용하며 밤낮으로 그 지도를 맡는 「'''모범 학생'''」(구칭은 '''지도 학생''')이라는 제도가 있었다.[19] 「모범 학생」에 한정되지 않고, 하급생은 일상에서 상급생의 직접적인 지도를 받았다.

동학년에서도 각 반 침실, 일직별로 윤번제인 「'''단속 학생'''」이라는 제도가 있어, 당번이 된 단속 학생은 학과 등에서 자신의 반을 인솔했다.

4. 2. 직원

1940년에 개정된 「육군유년학교령」에 따르면, 육군유년학교에는 교장, 부관, 학교 부속, 교관, 훈육부장, 생도감 주사, 생도감, 하사관, 판임 문관 등의 직원이 있었다.[17] 교장은 소장 또는 대좌급, 훈육부장과 생도감 주사는 중좌급, 각 생도감은 소좌급이었다. 특히 훈육반에서 지도의 중심이 되는 '''생도감'''은 어린 생도들에게 중요한 존재였다. 제2차 세계 대전 후반에는 대대장급의 중견 장교인 생도감이 전지로 전출되는 일이 잦아졌고, 말기에는 1개 학년에 1~2명밖에 남지 않게 되자, 위관급의 훈육반장을 각 훈육반에 배치하여 생도감을 보좌하게 되었다.[18]

제1학년과 제2학년 훈육반에서는 품행이 방정하고 학술이 우수한 제3학년 상급생이 '''모범 학생'''(구칭은 '''지도 학생''')으로 임명되어 하급생과 함께 생활하며 지도를 맡았다.[19] 모범 학생뿐만 아니라 하급생은 일상에서 상급생의 직접적인 지도를 받았다.

동 학년에서도 각 반 침실과 일직별로 윤번제인 '''단속 학생''' 제도가 있어서, 당번이 된 단속 학생은 학과 등에서 자신의 반을 인솔했다.

중일 전쟁 발발 직전인 1938년 봄에 히로시마 육군유년학교에 입교한 무라카미 효에는 유년학교에서는 뺨을 때리는 일이 드물었고, 특히 3학년이 1학년을 때리는 일은 절대 없었다고 증언했다.[20][21]

5. 제복

대일본 제국 육군의 유년학교 제복(군복)은 시대에 따라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38년 쇼와 13년 칙령 제392호 "육군 복제 개정"에 따라 육군유년학교 학생복제가 대대적으로 개정되어, 학생 전용 제복이 제정되었다. 일반 하사관 병사용과 달리 부착식 주머니, 어깨 루프형 견장, 벚꽃 각인 단추, 가브라 소매(소매 접어 올림)를 사용했고, 고품질의 천과 바느질로 된 세워 깃 옷이 제정되었으며, 붉은색 테두리(파이핑)가 견장과 소매(쐐기 모양)에 덧대어졌다. 특히 깃에는 견습사관, 사관후보생, 육군 예과사관학교 학생에 준하는 전통적인 금색 금속 별장인 특별 휘장이 달렸다.[23]

1943년 쇼와 18년 칙령 제774호 "육군 복제 중 개정"에 의해, 별장에 진홍색 바탕에 벚꽃잎 자수가 더해진 화려한 것으로 바뀌었고, 견장에는 벚꽃잎이 달린 금색 금속 별장이 추가되었다.[24] 시대에 따라 깃의 별장 유무에 차이가 있지만, 육군유년학교 학생은 군모의 별장(모장)과 더불어 "'''별의 학생'''"이라고도 불렸다.

욱일장과 벚꽃・벚잎을 각인한 버클을 갖춘 띠혁(벨트)을 착용했다. 장갑(흰 장갑) 착용도 장교에 준하여 이루어졌다. 1900년경부터는 육군지방유년학교 학생도 외출 시에 검을 찼으며,[25] 이후에는 주로 30년식 검을 사용했다.

6. 용어


  • "D코로" - "육군유년학교 출신자"를 가리키는 말이다.[44] 중학교 출신자가 육군유년학교 출신자를 낮춰 부르는 말로, "카데=KD"의 D에서 유래했다.[44]
  • "P코로" - "중학교 출신자"를 가리키는 말이다.[44] 육군유년학교 출신자가 중학교 출신자를 낮춰 부르는 말이다.[44] 독일어 Platpatrone(공포탄)에서 유래했다.[44] 육군유년학교 출신자가 자신들을 Scharfepatrone(실탄)에 비유하고, 중학교 출신자는 소리만 나는 공포탄에 불과하다고 놀린 것이다.[44]
  • "치고" - 상급생이나 학생감, 교관의 총애를 받는다고 여겨지는 사람을 가리킨다.[45]

7. 각 학교


  • 도쿄 육군 유년 학교 (구 도쿄 육군 지방 유년 학교 및 육군 중앙 유년 학교 예과) - 동유
  • 오사카 육군 유년 학교 (구 오사카 육군 지방 유년 학교) - 대유
  • 센다이 육군 유년 학교 (구 센다이 육군 지방 유년 학교) - 선유
  • 나고야 육군 유년 학교 (구 나고야 육군 지방 유년 학교) - 명유
  • 히로시마 육군 유년 학교 (구 히로시마 육군 지방 유년 학교) - 광유
  • 구마모토 육군 유년 학교 (구 구마모토 육군 지방 유년 학교) - 웅유
  • 육군 중앙 유년 학교 본과 (구 육군 중앙 유년 학교, 이후 육군 사관 학교 예과)

8. 교장

일본 육군유년학교의 교장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역대 교장 및 주요 지방 교장 항목에서 자세히 다룬다.

8. 1. 역대 교장

시기이름비고
1875년 5월 2일 -다케다 나리아키 대좌
1875년 9월 7일 - 1877년 1월 13일호시나 마사타카 중좌겸임, 폐지
1887년 6월 - 1889년 6월 3일후지이 카네무네 공병 중좌
1889년 6월 11일 - 7월 10일후지이 카네무네 공병 중좌직무 취급
1889년 7월 10일 - 1889년 11월 2일후루카와 노부타카 공병 소좌심득
1889년 11월 2일 - 1890년 8월 25일후루카와 노부타카 공병 중좌
1890년 8월 25일 - 1892년 12월 7일야마우치 나가토 보병 중좌
1892년 12월 7일 -사사키 나오 보병 중좌
1894년 9월 13일 - 1895년 8월 10일하타노 타케시 보병 대좌겸임 · 사무 취급
1895년 8월 10일 - 1896년 5월 15일아야 코우 보병 중좌
1896년 5월 15일 - 1896년 9월 25일아야 코우 보병 중좌
1896년 9월 25일 -타니타 후미에 보병 중좌
1898년 10월 1일 -이자키 요시히로 보병 중좌
1904년 9월 7일 -오노 야스타카 포병 대좌
불명 - 1906년 3월 9일타케우치 타케시 보병 중좌
1906년 3월 9일 - 1908년 3월 18일노구치 콘시 보병 대좌
1908년 3월 18일 - 1910년 11월 30일큐노 츠카사 보병 대좌
1910년 11월 30일 - 1915년 8월 10일마츠우라 히로타케 보병 대좌
1915년 8월 10일 -이와사키 하츠타로 보병 대좌
1920년 5월 12일 - 8월 10일하세가와 나오토시 소장육군사관학교 예과로 개조


8. 1. 1. 주요 지방 교장


  • 다치바나 슈타 - 나고야 교장. 보병 제34연대 제1대대장으로 요양 전투에서 전사했다.
  • 센다 사다토키 - 센다이 교장. 독립혼성 제2여단장으로 이오지마 전투에서 전사했다.
  • 모모타케 하루요시 - 히로시마 교장. 제17군 사령관 / 과달카날 전투 참조.
  • 아난 코레치카 - 도쿄 교장. 육군대신. 종전 전날 육상 관저에서 자결, 가이샤쿠를 거부하고 다음날 아침에 절명했다.

9. 관계자

인물구분
이즈미 타쿠(작곡가)센요
가토 히데토시(평론가)센요
나다이나다(작가, 정신과 의사)센요
니시무라 교타로(작가)토요
가카 오토히코(작가)메이요
카츠라 치호(각본가, 작가)메이요
미즈시마 카즈야(학자)메이요
마스오카 카나에(육군 장군·동부 방면 총감)메이요
후지오카 타쿠야(배우)코요
고쿠분 야스타카(심리학자)토요
오하라 켄시로(대학 교수)토요
스기야마 쿠니히로(NHK 아나운서)쿠마요
아이쿠라 히사토(음악 평론가)토요
오오스기 사카에(작가)명유
우츠노미야 토쿠마(정치가, 실업가)동유


참조

[1] 논문 陸軍将校の選抜・昇進構造 - 陸幼組と中学組という二つの集団 - https://doi.org/10.1[...] 日本教育社会学会 2018-06-11
[2] 서적 第二章 幼年学校という存在-兵科将校の補充源
[3] 서적 第二章 幼年学校という存在-幼年学校の目的と沿革
[4] 서적
[5] 웹사이트 陸軍幼年学校令改正・御署名原本・昭和十五年・勅令第八九号(請求番号:御23468100) https://www.digital.[...] 2021-09-29
[6] 서적 陸軍予科士官学校 陸軍幼年学校 受験入校の手引 https://dl.ndl.go.jp[...] 講談社/大日本雄弁会講談社
[7] 서적 位置No. 1030-1137, 第二章 緒戦の連勝と米軍の反攻-後宮淳 東条の選んだ高級参謀次長
[8] 서적 第1部 主要陸海軍人の履歴-陸軍-遠藤三郎
[9] 서적 第1部 主要陸海軍人の履歴-陸軍-辻政信
[10] 논문 近代日本における陸軍将校のリクルート:階層的特徴をめぐって https://doi.org/10.1[...]
[11] 서적
[12] 서적
[13] 논문 府県立中学校における財源構成と授業料の府県間比較 : 1890年代から1930年代を対象に https://doi.org/10.2[...]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陸軍士官学校
[17] 문서 陸軍幼年学校令改正の件
[18] 서적 陸軍士官学校
[19] 서적 陸軍士官学校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문서 御署名原本・昭和十三年・勅令第三九二号・陸軍服制改正 内閣 1938-05-31
[24] 문서 御署名原本・昭和十八年・勅令第七七四号・陸軍服制中改正ノ件 内閣 1943-10-12
[25] 서적 陸軍士官学校
[26] 간행물 官報 1898-05-13
[27] 서적 陸軍幼年学校体制の研究
[28] 서적 昭和天皇御召列車全記録 新潮社 2016-09-30
[29] 서적 陸軍士官学校卒業生
[30] 서적 卒業式
[31] 서적
[32] 서적 陸海軍用語の解説-陸軍大学校
[33] 서적 第四章 天保銭組と無天組-陸大受験戦争の後遺症
[34] 서적 塚本誠 略年譜
[35] 서적 市ヶ谷台の青春-幼年学校本科から士官学校予科へ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陸軍士官学校
[44] 서적
[4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